제4차 대자보 도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   조회수: 4 날짜: 2025-06-18본문
제4차 대자보 도
제4차 대자보 도시 시민포럼 포스터./사진=광주시 광주광역시는 사람 중심의 도시 환경 구축 방안을 모색하는 '제4차 대·자·보(대중교통·자전거·보행 중심) 도시 광주 시민포럼'을 20일 오후 2시 시청 중회의실에서 개최한다. '대자보 도시 광주'에 대한 시민 인식과 체감을 높일 수 있도록 전주시 사례를 통해 광주의 '차 없는 거리', '걷고 싶은 길' 추진 방향과 해법을 논의한다.김승수 전 전주시장이 '걷고 싶은 도시는 어떻게 만드는가'를 주제로 발제한 뒤 참석자들과 질의응답과 토의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김 전 시장은 2014년부터 2022년까지 8년간 전주시장을 역임하며 걷고 싶은 도시 정책을 역점 추진했다. 한옥마을 차 없는 거리, 충경로 차 없는 사람의 거리 등 전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발표한다.전주 충경로는 전주의 역사와 비전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대로다. 광장형 도로 조성, 도로 다이어트, 보행자 편의시설 설치 등을 통해 사람 중심 보행 공간으로 조성했다. 보행환경 조성 사업 이전에도 충경로 일원을 매월 차 없는 거리로 운영하면서 호응을 얻었다.전주의 대표 관광지인 한옥마을이 주말과 공휴일에 차 없는 거리로 오랜 기간 운영될 수 있었던 과정을 살펴보고 광주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도 논의한다.포럼은 광주시가 주최하고 광주지속가능발전협의회, 광주교통공사, 광주도시재생공동체센터가 공동 주관한다. 포럼은 지난해부터 △보행환경·자전거 △교통약자 이동 편의 증진 △간선급행버스체계(BRT)를 주제로 세 차례 열렸다.포럼 참여를 원하는 시민은 홍보 포스터에 기재된 QR코드를 통해 사전 신청하면 된다.광주시는 지난해 승용차 대신 '대중교통, 자전거, 보행'으로 탄소중립을 실현하고 사람 중심 도시로 전환한다는 '대자보 도시 광주'를 선언했다.이후 자동차 중심의 도시 구조를 사람을 위한 공간으로 바꿔나가는 보행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각선 횡단보도를 확대하고, 광주공원 주차장을 시민을 위한 광장으로 바꾼 청춘 빛포차 [서울경제] 정명훈이 이끄는 이탈리아 라 스칼라 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오는 9월 17일(수) 오후 7시 30분,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한국 관객을 만난다. 이번 공연은 정명훈이 아시아 최초로 라 스칼라 극장의 음악감독에 임명된 이후 처음으로 함께하는 투어의 일환으로, 오랜 예술적 인연의 정점에서 펼쳐지는 상징적인 무대가 될 예정이다.정명훈은 1989년 라 스칼라 지휘 데뷔 이후 오랜 세월 이 극장과 음악적 유대를 이어왔다. 2023년에는 라 스칼라 필하모닉의 첫 명예 지휘자로 추대됐으며, 2025년 5월 아시아인으로는 처음으로 정식 음악감독에 오르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정명훈은 “라 스칼라를 36년간 사랑해오다 결혼하게 된 것 같다”며, “말이 통하지 않아도 음악으로 소통했다”고 밝혔다.이번 무대에는 러시아 피아니즘의 계보를 잇는 세계적 거장 니콜라이 루간스키가 협연자로 나선다. 그는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을 연주하며, 깊이 있는 해석과 절제된 감성으로 ‘건반 위의 회화’ 같은 음악을 선보일 예정이다. “이 곡은 절망 속에서 태어난 걸작이며, 음악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도 대화의 시작점이 될 수 있다”고 그는 전했다.공연은 베르디의 ‘운명의 힘’ 서곡으로 시작된다. 드라마틱한 전개와 강렬한 음향이 어우러지는 이 곡은 정명훈의 원숙한 지휘를 통해 극적인 서사로 펼쳐질 예정이다. 이어지는 라흐마니노프의 피아노 협주곡 제2번은 루간스키와 라 스칼라 필하모닉이 함께 만들어내는 풍부한 감성의 무대다. 마지막으로 연주되는 차이콥스키 교향곡 제6번 ‘비창’은 생의 고통과 아름다움을 아우르는 작품으로, 정명훈의 깊이 있는 해석이 기대된다. 티켓은 예술의전당과 NOL티켓에서 예매 가능하다. 이혜진 선임기자 hasim@sedaily.com
제4차 대자보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