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제] 그린워싱이란 기업이 환경 친화적으로 보이기 위해 모호하거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주장을 하는 행위를 의미한다. 친환경(green)과 세탁(white washing)의 합성어인 그린워싱(greenwashing)은 1986년 환경운동가 제이 웨스터벨트가 처음 사용했다. 2000년대 이후 친환경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그린워싱이 급격히 확대되었는데, 2009년 환경 마케팅펌 테라초이스(Terra Choice)는 환경성을 주장한 상품의 98%에 그린워싱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고 발표했다. 글로벌 ESG 데이터 기업 렙리스크(RepRisk)도 지난 10년(2012-2022) 동안 그린워싱 사례가 유럽과 미주 지역 중심으로 꾸준히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그린워싱은 질적으로도 진화하고 있다. 2023년 발간된 <그린워싱 3.0> 보고서는 그린워싱의 발전 단계를 3단계 모델로 제시한다. 그린워싱 1.0은 기업이 소비자에게 상품의 친환경성을 일방향으로 광고한 단계다. 기업은 ‘무공해’ 등의 모호한 표현이나녹색 포장재 등을 사용해 친환경 이미지를 홍보했다. 그린워싱 2.0은 기업이 소비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관계를 맺으며 전략적 메시지를 내는 단계다. 기업은 NGO 등의 비판에 대응하고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하거나 환경 인증을 취득했지만, 그 과정에서 오히려 그린워싱이 더욱 정교해졌다. 그린워싱 3.0은 기업이 현재의 상품이나 서비스가 아닌 중장기적 환경 성과에 대한 ‘미래 세탁’(future washing)을 시도하는 단계다. 기업은 투자자들의 요구에 따라 ‘2050년 탄소중립’ 계획을 선언했지만 이를 뒷받침할 구체적 이행 계획이 부족한 경우가 많다. 그린워싱에 대한 규제도 함께 발전했다. 초기에는 기업이 상품 등을 표시·광고할 때 소비자를 오인하는 행위를 금지하는 일반적인 소비자 보호 규제를 통해 그린워싱을 규율했다. 시장에서 그린워싱 기법이 정교해지면서, 환경성 주장이 포함된 표시·광고에 대해 명확성·싫증성·전 과정성·완전성 등의 세부 원칙을 요구하는 제도가 생겨났다. 이제기업은 상품의 생애주기 전반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을 고려하고, 과학적 근거에 기반해 환경적 효과를 설명해야 한다. 나아가 ESG 시대가 도래하면서 소비자뿐만 아니라 투자자 등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기업의 환경 성과를 투명하게 식목일이면서 절기상 한식(寒食)인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운현궁에 매화가 핀 가운데 봄비가 내리고 있다. 연합뉴스 일요일인 6일 중부지방이 대체로 흐리다가 오후부터 맑아지는 가운데 포근한 날씨가 예상된다. 일부 지역은 낮과 밤 기온차가 15도 이상으로 커 건강 관리에 유의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기상청은 이날 “아침까지 중부 서해안과 전라권에 짙은 안개가 끼는 곳이 있을 것”이라며 “충청권 내륙과 남부 내륙을 중심으로 낮과 밤의 기온차가 15도 이상으로 벌어질 전망”이라고 예보했다.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2~8도, 낮 최고기온은 13~20도를 오르내릴 것으로 보인다. 오전 8시 기준 주요 지역 기온은 서울 7.6도, 인천 5.5도, 수원 6.9도, 춘천 7.6도, 강릉 10.5도, 대전 7.1도, 대구 9.2도, 전주 6.6도, 광주 5.9도, 부산 10.0도, 제주 8.8도다. 주요 지역 낮 최고 기온은 서울 15도, 인천 13도, 수원 15도, 춘천 16도, 강릉 17도, 대전 18도, 대구 20도, 전주 18도, 광주 19도, 부산 17도, 제주 17도가 예상된다.아침사이 강원내륙·산지에 5㎜ 미만의 빗방울이 떨어지질 것으로 보인다. 전국 곳곳에서 바람이 순간풍속 시속 55㎞(산지 시속 70㎞) 전안팎으로 강하게 부는 곳도 있을 전망이다. 미세먼지는 전 권역이 ‘좋음’∼‘보통’으로 예상된다.윤연정 기자 yj2gaz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