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2일 오전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   조회수: 14 날짜: 2025-04-04

본문

2일 오전 11시 서울 중랑구 홈플러스 면목점을 방문한 소비자들이 장을 보고 있다. 이날 매장은 세일 행사 기간임에도 비교적 한산한 모습이었다. 김다연 기자 damong@donga.com 2일 오전 11시경 서울 중랑구 홈플러스 면목점. 식료품 코너에선 샘표 간장 등 일부 제품 매대가 듬성듬성 비어 있었다. 이날 홈플러스 매장에서 만난 직원은 “현재 물류센터에 남아 있는 재고분만 들어오고 추가로 물건이 들어오지는 않는 것 같다”고 했다. 지난달 4일 기업회생을 신청해 절차를 밟고 있는 홈플러스는 지난달부터 ‘홈플런’, ‘홈플런 이즈 백’, ‘앵콜! 홈플런 이즈 백’ 등 세일 행사를 이어가고 있다. 이날도 ‘창립 홈플런 성원보답 고객 감사제’ 행사날이었지만 6600m²(약 2000평) 가까운 매장에 손님은 20명 정도로 한산한 모습이었다. 홈플러스 기업회생 절차 신청 이후 한 달째로 접어든 가운데 이날 매장에서 만난 직원들은 불안한 심정을 내비쳤다. 회생 절차 신청 이후 한 달이 되었지만 대주주인 MBK파트너스 측이 사태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고 있는 데다 일부 업체들은 여전히 납품을 중단한 상태다.22년간 홈플러스에서 근무했다는 한 50대 직원은 “아직 임금이 밀리진 않았지만 앞으로 어떻게 되는 건지 회사 측으로부터 명확한 설명이 없어 불안하다”며 “반평생 일해온 곳이 없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니 아쉽고 속상하다”고 했다. 일부 직원들은 다른 업체로 파견을 떠났다. 홈플러스에서 10년을 근무했다는 또 다른 50대 협력업체 직원은 “회생 절차 이후 일이 줄며 10년 만에 처음으로 다른 대형마트로 파견을 갔다”고 했다.홈플러스에 납품을 중단했던 곳들 대부분은 납품을 재개했지만 여전히 불안정한 상황이다. 이날 오후 2시경 서울 마포구 홈플러스 합정점에서는 간간이 비어있는 매대가 눈에 띄었다. 매대를 정리하던 한 직원은 “납품을 중단한 업체는 물론이고 납품을 재개한 업체들의 상품도 제대로 들어오지 않고 있다”고 했다.홈플러스에 납품하는 기업들은 향후 판매 대금 정산에 문제가 생기면 언제든 납품을 중단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납품을 중단했다 재개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현재 불안감을 느낀 납품업체들이 앞다퉈 홈플러스 측에 대금 정산 기일을 조정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며 “이 과정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언제라도 납품 대란이 벌어질 만달레이 시민 피요(오른쪽)가 2일 만달레이의 한 교회 대피소 앞에서 양곤에서 온 친구를 껴안고 눈물을 흘리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가만히 있어도 아직 땅이 흔들리는 것 같고, 자다가도 진동이 느껴지면 바로 깨. 난 이제 남은 게 하나도 없어. 지진이 모든 것을 앗아갔어.”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의 한 교회에 머물고 있는 피요(36)는 2일 양곤에서부터 옷가지와 생필품을 들고 자신을 찾아준 친구 세인을 껴안고 한참을 흐느꼈다. 집을 잃은 설움과 지진의 악몽, 미래에 대한 불안이 뒤섞인 눈물이다. 2일 만달레이 시민 피요가 대피소 생활을 하면서 야외에서 취침해 모기에 잔뜩 물린 손을 기자에게 보여주고 있다.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지난달 28일 오후 12시50분. 미얀마 만달레이 인근에서 예고없이 발생한 규모 7.7 강진은 그의 삶을 통째로 바꿨다. 패션 디자이너 피요가 집 안에 마련된 작업실에서 일하고 있을 때 갑자기 ‘그르릉’ 낮게 울리는 소리가 들리더니 난생처음 겪는 심각한 흔들림이 느껴졌다.벽에 걸려있던 대형 장식품이 갸우뚱거리며 떨어지더니 어깨를 강타했다. 직감이 말했다. 도망쳐야 한다고. 옆에 있던 휴대폰만 쥔 채 맨발로 황급히 건물을 빠져나왔다. 금품이나 귀금속은 물론, 핵심 작업 도구인 재봉틀까지 모두 집에 두고 왔지만 다시 올라갈 수는 없었다. 그의 집은 이미 ‘피사의 사탑’처럼 보일 정도로 크게 기운 데다 금도 심하게 갔다. 언제 무너져 내려도 이상하지 않은 상태다. 2일 만달레이 찬 아예 타르잔 지역 공터에 마련된 난민촌 모습. 만달레이(미얀마)=허경주 특파원 일단 집 인근 교회가 마당에 운영하는 임시 시설로 몸을 피했다. 말이 ‘피난소’지, 사실 침상 위에 모기장을 덮어둔 게 전부다. 교회 내부도 심한 금이 가 있어, 붕괴 위험 때문에 들어갈 수 없는 탓이다. 언제 끝날지 모르는 그의 대피 생활은 이렇게 시작됐다.40도를 넘는 무더위와 제대로 먹지도, 씻지도 못하는 상황이 이어지지만 피요를 더 힘들게 하는 것은 육체적 고통이 아니다. 강렬했던 지진의 악몽과 언제 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