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지난 10일 임선하 대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댓글: 0   조회수: 3 날짜: 2025-04-13

본문

지난 10일 임선하 대구 덕화중학교 수학선생님이 1학년 7반에서 공개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오늘은 빅맥지수 기사를 보고 기억나는 단어를 써볼거에요." 선생님이 '일본은 평균 시급으로 빅맥을 2.2개 살 수 있지만 한국은 1.8개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기사 영상을 틀어주자 학생들은 유심히 관찰하기 시작했다. 교실 앞 화면에는 학생들이 각자의 칸에 '빅맥', '평균 임금', '불경기' 등을 적은 게시물이 보였다. 이후 아이들은 빅맥 지수로 통화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태블릿 펜으로 문자식을 써보는 시간을 가졌다. '경제'가 아니라 중학교 1학년 '수학'시간이다. 임선하 대구 덕화중학교 수학교사는 "아이들이 수학을 실제 생활에 적용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며 "기사 영상이나 문제는 모두 AI(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해 제가 직접 내용을 새로 구성한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3월부터 AI디지털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본격 도입됐다. 초3,4·중1·고1의 수학, 영어, 정보 과목이 대상이다. AI디지털교과서는 전국 채택률이 30% 수준이지만 대구에서만큼은 98%가 사용하고 있다. 강은희 대구시 교육감이 앞장선 덕분이다. AI디지털교과서는 채점, 수업활동 기록 등 선생님의 업무를 덜어주고, 아이들의 모듬 활동을 독려해 '잠자지 않는 교실'을 만들기 위해 도입됐다. 임 교사도 AI디지털교과서의 장점으로 "교사의 자료를 학생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고 아이들의 풀이과정을 교사 화면에서 바로 볼 수 있다"며 "어떤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이해를 못 했는지, 전반적인 아이들의 평균 점수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디지털교과서는 개별 PC에서도 로그인해 학부모도 집에서 아이들의 수업 참여, 성취도를 볼 수 있다. 임선화 선생님의 태블릿 PC 화면/사진=정인지 기자 초등학교 교실에서는 함께 수학문제 만들기가 한창이었다. 대구 용계초등학교 3학년 2반 학생들은 이동엽 담임 교사의 지시에 따라 화이트보드에 각 모듬별로 세자리수 덧셈을 활용한 문제를 만들었다. "오늘은 가창찐빵 축제를 하는 날입니다. 오전에는 239명, 오 지난 10일 임선하 대구 덕화중학교 수학선생님이 1학년 7반에서 공개수업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교육부 "오늘은 빅맥지수 기사를 보고 기억나는 단어를 써볼거에요." 선생님이 '일본은 평균 시급으로 빅맥을 2.2개 살 수 있지만 한국은 1.8개에 불과하다'는 내용의 기사 영상을 틀어주자 학생들은 유심히 관찰하기 시작했다. 교실 앞 화면에는 학생들이 각자의 칸에 '빅맥', '평균 임금', '불경기' 등을 적은 게시물이 보였다. 이후 아이들은 빅맥 지수로 통화 가치를 알아보기 위해 태블릿 펜으로 문자식을 써보는 시간을 가졌다. '경제'가 아니라 중학교 1학년 '수학'시간이다. 임선하 대구 덕화중학교 수학교사는 "아이들이 수학을 실제 생활에 적용해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싶었다"며 "기사 영상이나 문제는 모두 AI(인공지능)디지털교과서를 활용해 제가 직접 내용을 새로 구성한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3월부터 AI디지털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본격 도입됐다. 초3,4·중1·고1의 수학, 영어, 정보 과목이 대상이다. AI디지털교과서는 전국 채택률이 30% 수준이지만 대구에서만큼은 98%가 사용하고 있다. 강은희 대구시 교육감이 앞장선 덕분이다. AI디지털교과서는 채점, 수업활동 기록 등 선생님의 업무를 덜어주고, 아이들의 모듬 활동을 독려해 '잠자지 않는 교실'을 만들기 위해 도입됐다. 임 교사도 AI디지털교과서의 장점으로 "교사의 자료를 학생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고 아이들의 풀이과정을 교사 화면에서 바로 볼 수 있다"며 "어떤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이해를 못 했는지, 전반적인 아이들의 평균 점수 등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AI디지털교과서는 개별 PC에서도 로그인해 학부모도 집에서 아이들의 수업 참여, 성취도를 볼 수 있다. 임선화 선생님의 태블릿 PC 화면/사진=정인지 기자 초등학교 교실에서는 함께 수학문제 만들기가 한창이었다. 대구 용계초등학교 3학년 2반 학생들은 이동엽 담임 교사의 지시에 따라 화이트보드에 각 모듬별로 세자리수 덧셈을 활용한 문제를 만들었다. "오늘은 가창찐빵 축제를 하는 날입니다. 오전에는 239명, 오후에는 329명이 왔습니다. 오늘 하루 동안 찐빵 축제에 온 사람들은 모두 몇명일까요?"와 같은 문제들이다.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