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볕더위가 이어지고 있다. 우리야 에어컨을 틀면 그만이지만, 실외에서 고스란히 더위를 감내해야 할 동물들이 걱정이다. 특히 그늘로 피하지도 못하고 꼼짝없이 묶여 지내는 마당개들은 어쩌나. 점점 극한으로 치닫는 날씨 속에 그늘, 방풍막, 단열처리 등 필요한 조치 없이 동물을 밖에서 기르는 것은 동물의 복지를 침해함은 물론 건강, 생명까지 위협한다. 우리 동물보호법도 반려동물에 대한 사육·관리·보호 의무 중 하나로 ‘동물을 실외에서 사육하는 경우 사육공간 내에 더위, 추위, 눈, 비 및 직사광선 등을 피할 수 있는 휴식공간을 제공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그렇다면 위 조항으로 무더위에 노출된 동물들을 당장 구출할 수 있을까? 안타깝게도 그렇지 않다. 법은 소유자가 위 의무를 위반하여 동물이 ‘상해나 질병을 입은 경우’만을 처벌하기 때문이다. 땡볕에 짧은 줄에 묶인 채 헉헉대는 마당개를 발견하고 관할 지자체에 신고하더라도 ‘개가 아프지 않다면’ 아무런 조치도 없을 확률이 높다. 즉 개가 열사병 등에 걸려 쓰러질 때까지 그 고통에 대해서는 법이 방치하는 셈이다. 외국의 경우 소유자가 동물을 실외, 실내에서 사육 시 각각 그 환경이 어떠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규정하며, 극한의 날씨에서는 야외에 오래 묶어두는 것 자체를 금지한다. 예를 들어 미국 워싱턴은 영하 1도 이하 또는 32도 이상의 온도를 극한 날씨로 규정하고, 이러한 날씨에 동물을 15분 이상 사람의 동행이나 적절한 피난처 없이 야외에 두는 행위를 금지하며 위반 시 형사처벌한다. 이러한 규정이 우리나라에도 있다면 소유자에게 적절한 조치를 요구함으로써 극한의 날씨로 인한 동물들의 고통을 조금 덜 수 있을 것이다. 실외 사육 동물의 환경 개선을 지도하고 필요한 경우 이를 지원하는 등의 조치가 절실한 때다.박주연 변호사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요즘은 식당가에서도 알코올 함량이 0.05% 미만인 논알콜 맥주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오비맥주 ‘카스 0.0’ ‘호가든 0.0’ ‘하이네켄 0.0’ ‘기네스 0.0’ 등이 대표적이다. 일반 맥주보다 알코올이 덜 던 논알콜이 건강엔 더 좋겠지만, 타인과 빨리 친해져야 하는 자리라면 일반 맥주가 나을 수 있다. 술을 마시면 타인의 행복과 기쁨에 더 민감해지고, 주변 사람과 괜히 함께 있고 싶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스위스 바젤대 연구팀은 18세에서 50세 사이 성인 60명에게 알코올이 든 ‘일반 맥주’나 알코올이 없는 ‘논알콜 맥주’를 15분간 마시게 했다. 참여자들이 마신 논알콜 또는 일반 맥주의 양은 평균 500mL였다. 일반 맥주를 마신 참여자들은 연구에 지장이 갈 정도는 아니면서 기분이 살짝 들뜨는 정도로만 취했다. 참여자들에게 자신이 마신 것이 일반 맥주인지 논알콜 맥주인지는 알려주지 않았다. 참여자들이 맥주 또는 논알콜 맥주를 마신 지 30분 후에, 연구팀은 그들에게 공포, 슬픔, 역겨움, 행복, 분노, 놀라움 등 6가지 감정을 표현하는 표정들을 보여줬다. 이후 표정을 보고 어떤 감정이 전달되고 있는지 맞추라고 했다.실험 결과, 일반 맥주를 마신 사람들이 논알콜 맥주를 마신 사람들보다 행복을 드러내는 표정을 더 잘 분간해냈다. 그러나 분노, 슬픔 등 행복 이외 다른 감정을 구분하는 능력은 논알콜 맥주를 마신 집단과 별 차이가 없었다.일반 맥주를 마신 사람들은 논알콜 맥주를 마신 사람들보다 타인과 시간을 함께 보내고자 하는 욕구도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경향은 남성보다 여성에서 특히 두드러졌다.논문 공동 저자인 마티아스 리히티 스위스 바젤대 정신약리학과 교수는 “맥주를 마신 사람들은 타인의 기쁨을 얼굴에서 더 빨리 감지하고, 긍정적 정서를 불러일으키는 상황에 더 큰 관심을 갖는다”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정신약리학(Psychopharmacology)’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