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의전당&유니버설발레단 '백조의 호수' 간담회에서 인사말하는 다닐 심킨. 연합뉴스 아직 공연까지 열흘 넘게 남았지만, 러시아 출신 스타 발레리노 다닐 심킨(38)은 일찌감치 한국에 와 리허설을 시작했다. 연습실에선 몇 가지 시범 동작만으로도 환호가 터지고 있단다. 섬세한 표현력과 고도의 테크닉을 겸비한 움직임이 같은 무용수에게도 감탄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심킨은 이달 19~27일 유니버설발레단과 예술의전당이 공동 기획으로 선보이는 '백조의 호수' 중 19, 23일 무대(총 2회 차)에 왕자 지그프리드 역으로 오른다. 세계적 기량을 보유한 무용수의 전막을 직접 볼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다. 8일 서울 유니버설아트센터에서 만난 그는 오히려 "역사가 깊은 발레단의 일부가 돼 공연한다는 건 아주 즐거운 작업"이라고 힘줘 말했다.심킨은 발레 무용수인 부모의 영향으로 다섯 살에 무대에 서기 시작했고, 바르나, 헬싱키, 잭슨 등 세계 유수의 국제 발레 대회를 석권하며 '콩쿠르의 왕자'로 불렸다. 미국 아메리칸발레시어터에서 2012~2020년, 독일 베를린슈타츠 발레단에서 2018~2019년 시즌 수석무용수를 지냈다. 현재는 발레단에서 나와 프리랜서로 클래식, 컨템포러리 등 다양한 장르를 소화한다. 2021년 '스튜디오 심킨'을 설립해 무용과 기술, 미디어를 결합한 새로운 장르를 개척하는 경영자이자 예술감독으로도 활동하고 있다.퇴단 이후 국내외 갈라 무대에 서온 그는 이번 UBC 프로덕션으로 국내 첫 전막 연기를 선보인다. 2023년 문훈숙 UBC 단장과 서울국제무용콩쿠르 심사위원으로 함께 활동하며 인연이 닿았다. 심킨은 "UBC는 훌륭한 러시아식 클래스(몸풀기 훈련)를 진행하고, 연습실 벽에서도 러시아 발레의 기운이 느껴진다"며 "마치 집에 온 것처럼 친근한 느낌"이라고 했다. 그의 기교와 표현력은 정상급이다. 대표 레퍼토리인 '돈키호테' 바질로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3연속 540도 회전'을 소화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만 이번에 선보일 '백조의 호수'에선 감정에 집중한다. "오히려 기교를 억누르고 제어해야 하는 작품"이라며 "회전을 몇 바퀴 도는지보다 회전을 어떻게 끝내는지, 지그프리드 캐릭터와 작품의 전체적인 큰 그림을 어떻게 ‘헉헉’ 더워도 너무 덥네폭염의 기세가 갈수록 강해지고 있는 가운데 9일 오후 광주 동구 문화전당역 앞에 설치된 전광판에 37.6도의 온도가 표시돼 있다. 기상청은 10일에도 광주의 낮 최고기온이 35도까지 오르는 등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보했다./김애리 기자 광주·전남에 13일째 이어지고 있는 폭염 특보가 대부분 지역에서 ‘경보’로 상향된 가운데 온열질환자와 가축 피해도 폭증하고 있다. 35도 안팎의 ‘극한 더위’는 이번 주말·휴일을 넘어서도 계속될 것으로 예보돼 건강 관리 등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9일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를 기해 목포와 신안에 내려진 폭염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되면서 진도와 거문도·초도·흑산도·홍도를 제외한 광주·전남 전역에 폭염 경보가 발효됐다.오후 3시 기준 광주·전남지역 최고기온은 ▲광주 38.3도 ▲광양 36.9도 ▲순천 36.6도 ▲장성 36.4도 ▲곡성 36.2도 ▲영암 36도를 기록했다. 다만 습도가 높지 않아 체감온도는 ▲무안 35.9도 ▲광주 34.9도 ▲영광 34.8도 ▲신안·함평 34.6도 ▲광양 34.5도로 나타났다. 35도 안팎의 불볕더위가 연일 이어지면서 올해 온열질환자 수는 벌써 세 자릿수를 넘어섰다.올해 질병관리청이 감시체계를 가동한 지난 5월15일부터 전날까지 발생한 온열질환자 수는 광주 22명, 전남 79명 등 총 101명이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온열질환자 50명(광주 11명, 전남 39명)의 2배가 넘는 수치다. 다행히 온열질환으로 인한 지역 내 사망자는 아직 발생하지 않았다.다만, 2023년 전남 3명, 2024년 광주 1명·전남 5명 등 최근 2년 동안 꾸준히 온열질환 사망자가 발생해 왔던 만큼 보건당국은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다.무더위로 인한 가축 피해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전남도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전남 18개 시·군 138개 농가에서 가축 8만1천515마리(닭 7만3천343마리·오리 5천3마리·돼지 3천169마리)가 폐사했다. 추정 피해액은 12억8천600만원에 달한다. 시·군별 피해액은 돼지 농가 피해가 집중된 무안이 3억3천100만원(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