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만명이 이용하는 국내 유명 온라인 쇼핑 플랫폼을 유사하게 만든 페이크 사이트 범죄가 기승을 부리고 있다. 쇼핑몰 이름과 사용자환경(UI)을 도용하고 도메인 주소까지 비슷하게 만들어 소비자를 속이는 식이다. 비정상SNS 광고나 오픈채팅방에서 공유되는 링크 등에 대한 소비자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유통업계의 적극적인 피해 예방 대책도 시급하다.1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컬리는 최근 쇼핑몰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사칭 유해 사이트를 주의하라는 안내문을 게시했다. 최근 컬리와 유사한 이름으로 로고와 상표, 사용자등록번호, 대표 이름, 본사 소재지까지 모두 도용해 소비자를 기만하는 사이트 사례가 다수 확인됐기 때문이다.컬리 측은 “정상 이용자들의 혼선을 야기하고, 금전적 이득을 취하려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면서 “유사 도메인, 상호, 상표, 비정상 SNS 광고 등은 모두 자사(컬리)를 사칭하는 유해사이트 가능성이 높다”고 당부했다.컬리는 2015년 서비스 개시 이후 누적 가입자 수 1200만명을 확보한 대형 온라인숍이다. 유료 멤버십 '컬리멤버스' 누적 가입자도 150만명 이상이다. 범죄단은 이처럼 고객 충성도가 높은 대형 쇼핑몰을 도용·사칭해 피해자들을 유인, 결제를 유도해 돈을 갈취하는 수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AI 생성 이미지〉 SSG닷컴은 지난달 자사 마케팅 활동으로 속인 '스미싱' 사례를 확인했다. 스미싱은 피해자 스마트폰을 악성코드에 감염시킨 후 개인정보와 금융정보를 빼내는 범죄 수법이다. 왓츠앱, 텔레그램 등에 생성한 오픈채팅방에서 '댓글 작성' '좋아요 누르기' 등 아르바이를 수행한 피해자들에게 보상을 제공하고, 대화 말미에 특정 링크를 보내면서 스미싱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SSG닷컴 측은 “왓츠앱에 해당 행위를 신고하고 제제하도록 요청했다”면서 “메신저를 통한 오픈채팅방을 통한 파트타임 마케팅 활동을 유도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가전양판업계에서는 보기 드물게 800만명에 달하는 온라인 회원을 확보한 롯데하이마트도 사칭 범죄의 대상이 됐다. 포털을 거쳐 쇼핑몰에 접속하는 소비자가 많은 만큼 공식몰(e-himart) 주소를 정확히 알고 있는 소비자가 적은 것을 악용해 'hi-mart24' "경북 산불로 전국 최대 송이산지인 영덕 송이산이 쑥대밭이 돼 앞으로 살길이 막막합니다" 5일 오후 경북 영덕군 지품면 삼화리 국사봉 산 86-1번지 일원. 역대급 최악의 산불로 산 전체가 시끄멓게 타버린 영덕 송이산은 말 그대로 포탄을 맞은 듯 전쟁터를 방불케할 정도로 처참한 모습을 보였다.초역대급 경북 산불이 경북 영덕까지 덮치면서 영덕의 송이산이 큰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나면서 송이 재배 농가들이 정부의 대책마련을 간절히 호소하고 있다. 산불에 탄 영덕 국사봉 일대 모습. 영덕군 제공 13일 영덕군에 따르면 의성에서 시작해 지난달 25∼26일 영덕까지 확산한 산불로 영덕읍,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일대 송이산 4137㏊가 탔다. 이 같은 송이산 피해는 영덕 전체 피해면적 8050㏊의 절반이 넘는 규모다.특히 영덕 송이 주산지인 지품면 삼화1리와 삼화2리 일대 국사봉, 지품면 옥류리, 영덕읍 화천리 일대 산림이 모두 피해를 봤다.송이 채취 임업인들은 피해가 난 송이산의 경우 영덕 송이 채취량의 70%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넓은 면적을 차지한다고 밝혔다.경북도에 따르면 지난달 22일부터 일주일간 산불이 덮친 5개 시군의 송이 채취량은 전국의 43%를 차지한다.피해 시군 가운데 영덕은 국내 송이 채취량의 30%를 차지하는 국내 최대 산지다.영덕군은 최대 송이 산지 명성이 이번 산불로 사라질 심각한 위기에 처했다고 하소연하고 있다.앞서 2022년 대형 산불이 발생한 울진에서는 송이 채취량(산림조합 공판물량 기준)이 전년도 1만2159㎏ 대비 ¼ 수준인 3227㎏으로 급감한 바 있다.이번 산불로 타버린 송이 산에서 다시 송이를 생산하기까지는 적어도 40∼50년이 걸려 채취 임업인들의 시름이 깊다.이 때문에 매년 송이 채취에 수입의 상당 부분을 의존해 온 농민들은 소득 감소를 우려하고 있다.영덕군은 그동안 이 같은 농외소득 덕분에 귀농인이나 청년 농업인을 끌어들일 수 있었으나 앞으로는 귀농 인구 유입에도 차질이 빚어질 것으로 걱정하고 있다.화천리 주민 박모(50대)씨는 "화천리 일대는 오지에 속해 고령층 인구가 많은데다 그나마 송이 덕분에 젊은 인구가 찾아오거나 고향으로 오는 경우가 있었는데 앞으로는 그런 일을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