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퍼처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   조회수: 1 날짜: 2025-04-16본문
미국 뉴욕 퍼처스 칼리지 내 은퇴자 거주 단지인 브로드뷰에서 입주민들이 TV를 시청하며 담소를 나누고 있다. 퍼처스=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 “우리 부부는 평생 배움에 관심이 많았어요. 대학 졸업 후 석박사를 했고 새로운 걸 배우고 싶은 마음은 80대인 지금도 마찬가지예요. 이곳엔 같은 마음을 가진 친구들이 가득해요. 그게 우리가 ‘대학 기반 은퇴자 공동체(UBRC)’를 선택한 이유입니다.”(‘브로드뷰’ 거주자 주디 즈바이그 씨) 지난달 25일(현지 시간) 미국 뉴욕 맨해튼에서 북동쪽으로 차로 1시간 거리인 뉴욕주립대(SUNY) ‘퍼처스 칼리지’를 찾았다. 인문예술 분야가 유명한 이 대학은 뉴욕주 웨스트체스터카운티의 아름다운 나무들 사이에 자리하고 있었다. 이 대학의 특별한 점은 캠퍼스 안에 4층짜리 아파트와 싱글 하우스 50여 채가 있다는 점이다. 바로 2023년 개관한 은퇴자 거주 단지 ‘브로드뷰 시니어 리빙’이다.브로드뷰 안에서 펼쳐지는 장면은 이색적이었다. 운동장에는 풋볼 게임을 하는 대학생이 많았지만 헤드폰을 낀 채 캠퍼스 도로를 따라 조깅을 하는 노인들 또한 많았다. 즈바이그 씨는 “지난 학기에는 학생들과 같이 아프리카 역사 수업을 들었다. 생애 처음으로 아프리카 역사를 배웠는데 정말 즐거운 경험이었다”고 했다. 그는 “세대 간 학습, 은퇴자들의 학생 멘토링, 공동체 교류가 끊임없이 펼쳐진다는 것이 이곳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강조했다.지난해 12월 65세 고령인구가 20%를 넘어서며 우리 사회도 ‘초고령사회’에 진입했다. 하지만 UBRC 등 다양한 주거 선택지가 제공되는 선진국과 달리 우리 영올드(Young Old·젊은 노인)들의 선택 폭은 너무나 좁다. 초고급 시니어 타운이 아니면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노인복지주택 등으로 양분돼 눈높이에 맞는 주거시설이 부족한 것이다. 삼성증권 이경자 팀장은 “초고령화 속도는 전 세계 최고인 반면 시니어하우징을 비롯한 실버 인프라▲현지 시간 13일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파괴된 가자지구의 모습 월스트리트저널은 현지 시간 14일,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 대한 지상 공격을 재개한 3월 중순 이후, 가자지구의 30% 이상이 이스라엘군의 통제하에 놓였다고 이스라엘 당국자를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이스라엘군은 공세를 재개하면서 가자 남부를 완전히 점령하는 계획을 세웠고, 이틀 전 남부 도시 라파와 칸유니스를 가로지르는 이른바 '모라그 회랑'을 완전히 장악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로써 이집트와 가자지구 라파간 경계를 따라 구축된 '필라델피 회랑'과 모라그 회랑 사이의 전 지역이 이스라엘 안보구역의 일부가 됐습니다. 가자지구를 분리해 거대한 완충지대를 만들고 군사력을 유지하는 방식은 병력이 이리저리 이동하던 전쟁 초기 방식과는 다른 것입니다. 인접국인 이집트의 당국자들은 이스라엘이 라파로 진입하기 전 남부의 안보구역을 장기간 완충지대로 유지하고, 가자 북부에서도 안보구역을 확대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전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이런 태세는 하마스에 '인질이 석방되지 않으면 팔레스타인 주민의 영토가 축소될 것'이라는 위협으로 작용한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습니다. 영토를 영구적으로 잃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은 이스라엘 건국으로 살던 땅에서 쫓겨난 조상을 둔 가자 주민들의 상처를 건드리는 일로, 하마스에는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분석했습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지난 2월 초 42일간의 1단계 휴전이 만료된 후 다음 단계 휴전을 타결 짖지 못하고 전투를 재개했습니다. 이집트 당국자들은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인질 59명 중 현재 살아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24명 중 최대 11명을 석방하고 시신 일부를 돌려주는 조건으로 최대 70일간 휴전하는 이집트의 휴전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습니다. 이 휴전안에는 하마스가 무기를 포기해야 한다는 요구가 들어있는데, 하마스는 이를 완강히 거부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하마스가 전쟁에서 패배하거나 스스로 무장을 해제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