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영향조선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   조회수: 1 날짜: 2025-04-29

본문

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영향조선업 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영향조선업 최대 호황도 후판 가격에 긍정적"유통향 후판가격 상승, 하반기 또 오를 듯"[포항=뉴시스] 포항제철소 3후판공장에서 극박 후판이 생산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철강업계가 조선업계에 공급하는 선박용 후판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는 모습이다. 정부의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확정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2분기 이후 철강사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도 커진다.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는 국내 조선 3사와 후판 가격 협상을 마무리했다.앞서 포스코그룹은 컨퍼런스콜에서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부과 이후 유통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고, 조선 3사와의 협상은 2분기까지 다 마무리 지었다"며 "가격 인상 트랜드에 맞춰 조선사와 포스코가 윈-윈 할 수 있는 합리적 수준에서 타결됐다"고 설명했다.현대제철 역시 컨퍼런스콜을 통해 "지속적으로 후판 유통가격 인상과 조선 부분에서 후판 가격 상승을 도모하도록 하겠다"며 "인상 폭은 이견이 있어 조정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가 인상한 후판 가격은 톤당 80만원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의 후판 가격도 비슷한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후판은 지난 2023년까지만 해도 톤당 100만원을 넘었지만 중국산 저가 후판이 유입되며 지난해 70만원대까지 떨어졌다.하지만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가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렸고, 기획재정부는 지난 24일 잠정 관세를 4개월간 부과하기로 했다.이 영향으로 중국산 후판 가격이 70만원대 중반에서 90만원대로 올라갔다.이에 성수기를 맞는 철강업계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올 2분기는 철강업계의 계절적 성수기로도 꼽힌다. 통상 4월부터 수요가 늘어 가격 상승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이 나타나기 때문이다.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미 유통 후판 가격 자체가 상승하고 있고, 가격 협상에서 철강사들이 유리해진 상황"이라며 "조선업계는 전에 없는 호황이어서 철강업계와 서로 상생하는 흐름이 되지 않을까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영향조선업 최대 호황도 후판 가격에 긍정적"유통향 후판가격 상승, 하반기 또 오를 듯"[포항=뉴시스] 포항제철소 3후판공장에서 극박 후판이 생산되고 있다. (사진=포스코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철강업계가 조선업계에 공급하는 선박용 후판 가격이 전반적으로 오르는 모습이다. 정부의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 부과 확정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에 2분기 이후 철강사들의 실적 개선 기대감도 커진다.29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포스코는 국내 조선 3사와 후판 가격 협상을 마무리했다.앞서 포스코그룹은 컨퍼런스콜에서 "중국산 후판 반덤핑 관세부과 이후 유통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고, 조선 3사와의 협상은 2분기까지 다 마무리 지었다"며 "가격 인상 트랜드에 맞춰 조선사와 포스코가 윈-윈 할 수 있는 합리적 수준에서 타결됐다"고 설명했다.현대제철 역시 컨퍼런스콜을 통해 "지속적으로 후판 유통가격 인상과 조선 부분에서 후판 가격 상승을 도모하도록 하겠다"며 "인상 폭은 이견이 있어 조정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포스코가 인상한 후판 가격은 톤당 80만원을 조금 넘는 수준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현대제철의 후판 가격도 비슷한 수준이 될 가능성이 높다.후판은 지난 2023년까지만 해도 톤당 100만원을 넘었지만 중국산 저가 후판이 유입되며 지난해 70만원대까지 떨어졌다.하지만 지난 2월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가 중국산 후판에 반덤핑 예비판정을 내렸고, 기획재정부는 지난 24일 잠정 관세를 4개월간 부과하기로 했다.이 영향으로 중국산 후판 가격이 70만원대 중반에서 90만원대로 올라갔다.이에 성수기를 맞는 철강업계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올 2분기는 철강업계의 계절적 성수기로도 꼽힌다. 통상 4월부터 수요가 늘어 가격 상승에 따른 스프레드 개선이 나타나기 때문이다.철강업계 관계자는 "이미 유통 후판 가격 자체가 상승하고 있고, 가격 협상에서 철강사들이 유리해진 상황"이라며 "조선업계는 전에 없는 호황이어서 철강업계와 서로 상생하는 흐름이 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올 하반기에도 추가적인 후판 가격 인상이 나올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철강업계는 시장 상황에 따라 분기 단위로도 가격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박성봉 하나증권 연구원은 "지난 하반기 국내 업체들 대부분이 적자를 기록한 만큼 올 하반기에도 추가로 후판 가격 인상이 시도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산 반덤핑 관세 부과 영향조선업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