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에듀테크 스타트업 다비다(대

페이지 정보

작성자: ajfoooo   댓글: 0   조회수: 5 날짜: 2025-05-26

본문

에듀테크 스타트업 다비다(대표 이은승)는 일본 효고현 야부시에서 열린 '야부시 지역과제 해결 PoC 콘테스트' 본선에 진출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콘테스트는 일본 지방 공공기관과 협업을 통해 지역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 산업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공공-민간 협력 프로그램이다.야부시 지역과제 해결 PoC 콘테스트는 지역 사회의 실질적 과제와 비즈니스 혁신을 연결하는 공공기관 주도형 사업으로, 최종 4개 팀(회사)을 선정해 각 팀에게 10만엔 지원금을 수여한다. 다비다는 지니펜(GENIPEN)과 지니클래스(GENICLASS)를 기반으로 한 지니티처(GENITEACHER) 솔루션을 통해, 전통 필기 기반 학습과 AI 기반 학습 피드백을 결합해 일본 교육 현장과 지역 사회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는 방안을 제안했다.다비다는 일본 내 교육 분야뿐 아니라 공공문서 관리·행정 효율화 등의 영역에서도 지니티처 기술 확장 가능성을 강조하며 현지 협력 가능성을 높였다. 본선 진출을 통해 최종 선정이 되면 야부시 공공기관과의 협업 모델을 구체화하고, 지역 맞춤형 PoC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이은승 다비다 대표는 “이번 본선 진출은 다비다의 AI 기반 손글씨 인식 기술이 일본 공공기관 및 지역사회 문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며 “앞으로도 일본뿐 아니라 글로벌 공공 부문 협력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실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최근 다비다는 UAE, 사우디아라비아, 바레인, 이집트 등 중동 4개국에서 지니티처 기반 PoC와 파트너십을 연이어 확보, 글로벌 시장에서 확장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동시에 실현해 나가고 있다.다비다는 △Startup Wheel Top 30 스타트업 선정 △창업아이디어 경진대회 '대상' 수상 △글로벌 ODA 기업진출센터 선정 △제2서울핀테크랩 선정 △2024 KSC 프랑스 '최우수' 선정 △2024 CES 혁신상 수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 수상 △일본 AES Global Awards 'Silver' 수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ICT R&D '우수' 선정 △중소벤처기업부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지원 (TIPS) 선정 △기술보증기금 최우수 기업 선정 △신용보증기금 스타트업 4.0 선정 국내에서의 여러 갑론을박과 무관하게 글로벌 차원의 발전부문 에너지전환은 꾸준히 진행 중입니다. 이제 막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국제사회의 합의가 이뤄지고, 대응의 핵심으로 전력의 탈탄소화가 꼽히기 시작한 2015년, 1,851GW 수준이었던 전 세계 재생에너지 발전설비는 지난해 4,448GW로 늘어났습니다. 증가세는 꾸준함을 넘어, 해마다 그 폭이 더 커졌고요. 온실가스 감축의 측면에서 봤을 때, 이는 반가운 소식이기도, 경계해야 하는 소식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무탄소 발전원인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발전설비가 늘어난 만큼, 과거와 같은 양의 전력을 소비하더라도 지구를 덜 달구게 됐다는 것은 반가운 일입니다. 다만, 성장세가 계속 커지고 있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아직도 우리는 갈 길이 멀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절대적인 설비 용량은 늘어나되, 그 성장세가 완만해졌을 때, 비로소 발전설비의 전환이 8부 능선을 넘어선 것이니까요. 이러한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의 확산을 이끈 것은 태양광과 풍력이었습니다. IRENA(International Renewable Energy Agency, 국제재생에너지기구)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2015년 각각 227.2GW와 416.6GW 규모였던 태양광과 풍력은 2021년 866.8GW와 824.4GW로 역전되더니, 2024년엔 1,865.5GW, 1,132.8GW로 그 차이가 더욱 벌어졌습니다.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태양광 발전은 10년의 세월, 몸집을 8.2배로 키운 겁니다. 이 둘이 전체 재생에너지 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중 또한 커졌습니다. 2015년, 태양광과 풍력이 전체 재생에너지 발전설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8%였습니다. 이 비중은 점차 커져, 지난해엔 67.4%를 기록했습니다. 에너지전환을 일컬을 때, 대부분이 전력부문의 발전원 전환을 의미하고, 그러한 발전원의 무탄소 전환이 곧 재생에너지의 확대를, 재생에너지의 확대가 태양광과 풍력의 확대를 의미하는 이유입니다. 재생에너지의 확산을 이끈 발전원이 태양광과 풍력이었다면, 이러한 확산을 주도한 곳은 어디일까요.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재생에너지 확산의 주요 삼각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