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린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댓글: 0   조회수: 18 날짜: 2025-06-20

본문

전국 곳곳에 비가 내린 16일 서울 세종대로사거리에서 우산을 쓴 시민들이 횡단보도를 건너고 있다. 연합뉴스 목요일인 19일 전국이 대체로 맑다가 차차 흐려지는 가운데 이날 오후 서쪽 지역부터 정체전선에 의한 비 소식이 있을 전망이다.기상청은 이날 오전부터 제주도, 오후부터 충남권과 전라권, 경북 남서 내륙, 경남 서부 내륙, 밤부터는 수도권과 강원내륙, 충북에 천둥과 번개를 동반한 비가 내릴 것이라고 밝혔다.이날 비는 정체전선에 의해 내리는 올 첫 장맛비로, 평년(1991~2020년)에 견줘 중부지방은 5~6일, 남부지방은 3~4일 일찍 장마가 시작되는 것이다.중부지방과 남부지방의 평년 장마 시작 날짜는 각각 6월25일과 6월23일이다. 다만 장마 시작일은 여름이 끝난 뒤 기상청이 실제 장마의 시작과 끝을 재분석해 발표하기 때문에 변경될 수 있다.이날부터 21일까지 예상 강수량은 서울·인천·경기·강원 내륙·산지 50∼100㎜(많은 곳 120㎜ 이상), 대전·세종·충남 30∼80㎜(많은 곳 충남, 충북 북부 100㎜ 이상) 등이다. 기상청은 “정체전선이 동서로 길고 남북으로 폭이 좁아 지역에 따라 강수 강도와 강수량의 차이가 클 것으로 보인다”며 “강약을 반복하며 소강상태를 보이는 곳도 있을 테니 최신 기상정보를 참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기온은 평년(최저 17~20도, 최고 23~29도)과 비슷하거나 조금 높을 전망이다. 이날 오전 8시 기준 주요 지역 기온은 서울 24.6도, 인천 21.3도, 수원 24.7, 춘천 21.9도, 강릉 20도, 대전 24.6도, 대구 24.5도, 전주 26.3도, 광주 3024.0도, 부산 23.2, 제주 23.9도다. 낮 최고 기온은 서울 33도, 인천 28도, 수원 32도, 춘천 33도, 강릉 33도, 대전 33도, 대구 30도, 전주 33도, 광주 30도, 부산 28도, 제주 28도로 예상된다.안개 소식도 있다. 오전 10시까지 충남 서해안과 전라 해안, 경남권 해안을 중심으로 가시거리 200m 미만의 짙은 안개가 끼고, 일부 지역에서는 이슬비가 내릴 것으로 보인다. 그 밖 지역은 가시거리 1㎞ 미만의 안개가 끼는 곳이 있을 전망이다. 특히 해안에 있는 영종대교, 인천대교, 서해대교 등 교량과 내륙의 강, 호수에 인접한 [파이낸셜뉴스] 부산의 환경기술 역량을 결집하고 지속가능한 환경기술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해 ‘부산 환경기술 지산학 연구회’가 20일 출범했다. 부산환경공단은 이날 부산상수도사업본부 대회의실에서 환경기술 지산학 연구회 발족식을 가졌다고 밝혔다. 20일 오후 3시 부산상수도사업본부에서 열리는 ‘부산 환경기술 지산학 연구회 발족식’ 안내용 포스터. 부산환경공단 제공 이 연구회는 지역 공공기관과 산업계, 학계가 상호 협력해 지역 환경기술을 혁신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모색하기 위해 조성됐다. 연구회에는 부산환경공단을 비롯해 부산상수도사업본부, 부산연구원, 대한환경공학회 부울경지회, 대한상하수도학회 부울경지회,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부울경지회 등 10개 기관이 뭉쳤다. 행사는 연구회 참여기관 간 협약 체결에 이어 지역 환경기술 분야 협력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와 토론 등으로 진행됐다. 발제 세션에서는 먼저 대한환경공학회 이태호 부울경지회장이 ‘부산의 환경기술 혁신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에 나섰다. 이어 부산환경공단 송미경 기술혁신센터장이 ‘부산 환경시설의 탄소중립 기술 현황과 미래 전망’을, ㈔부산시물산업협회 김현택 이사장이 ‘부산 물 융합산업 클러스터 추진 방향’에 대해 발표했다. 패널 토론은 이태호 지회장을 좌장으로 이근희 부산환경공단 이사장, 황소용 ㈔부산시맑은물산업진흥협회장,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장성호 부울경지회장 등이 참여했다. 각 패널들은 지역의 물 산업 및 환경산업과 관련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갔다. 공단 관계자는 “새로 출범한 이번 연구회는 부산이 환경기술 선도 도시로 나아가기 위한 첫걸음”이라며 “참여기관들은 이번 발족식을 시작으로 향후 상호 간 긴밀한 협력에 나서 정책 연계형 연구개발 과제 발굴, 환경기술 현안과제 해결 활동 등에 본격적으로 나설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20일 오후 3시 부산상수도사업본부에서 열리는 ‘부산 환경기술 지산학 연구회 발족식’ 안내용 포스터. 부산환경공단 제공 lich0929@fnnews.com 변옥환 기자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