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이 에티오피아산 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이 에티오피아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하며 농산물 수입선을 다변화하고 있습니다.로이터 통신은 7일 중국 세관 당국인 해관총서 공고를 인용해 중국이 에티오피아로부터 대두박 수입을 승인했다고 보도했습니다.해관총서는 이달 3일부터 에티오피아에서 재배한 대두를 압착하고 용출해 기름을 분리한 부산물인 대두박이 요건을 충족하면 수입이 즉시 허용된다고 밝혔습니다.중국 상하이의 농업 컨설팅업체 관계자는 "이는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수입 대두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의 하나"라며 "다만, 수입량은 많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말했습니다.앞서 중국 사료업체들은 미중 무역전쟁 여파로 대두 수입에 혼란을 빚자 지난달 말 아르헨티나 업체와 대두박 수입 계약을 체결했습니다.이는 중국 당국이 2019년 아르헨티나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한 이후 처음 이뤄진 계약입니다.또 지난달 우루과이산 대두박 수입을 승인해 수입국을 기존 아르헨티나, 브라질, 러시아, 벨라루스 등에서 확대한 바 있습니다.지난 몇년간 중국은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면서 농산물 수입선 다변화를 모색해왔습니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1기 때인 2017년에는 중국의 대두 수입량 중 약 40%를 미국산이 차지했지만, 지난해에는 이 비중이 20% 정도로 떨어졌고 같은 기간 브라질산 비중은 50%에서 70%로 늘었습니다.올해 들어서도 지난 3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10+10%' 대중 관세 인상 조치에 맞서 중국은 대두를 비롯한 미국산 농축산물에 10∼15%의 보복관세를 부과했습니다. [사진 출처 : AP=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박석호 기자 (parkseokho@kbs.co.kr) 스승과 제자 사이인 피아니스트 손민수 임윤찬이 듀오 리사이틀로 관객과 만난다. [목프로덕션 제공] [헤럴드경제=고승희 기자] “함께 노래하고 싶었어요.” (임윤찬)열세 살에 만나 7년을 함께 했다. 2017년 한국예술종합학교 부설 예술영재교육원의 오디션 현장에서 피아니스트 손민수(49)와 임윤찬(21)은 처음 만났다. 스승은 제자를 한눈에 알아봤다. 소년이 연주한 리스트의 ‘메피스토 왈츠’는 ‘미래의 스승’에게 깊이 각인됐다. 당시를 떠올리던 스승은 “윤찬이는 나와 성향이 비슷해 인연이 될 것 같았다”고 했다. 지금의 손민수는 임윤찬에 대해 “제자이기 이전에, 함께 음악을 사랑하고 나누는 동료로서 그의 진심과 열정을 존경한다”고 말한다.두 대의 피아노에서 네 개의 손이 노래한다. 모두가 기다려온 무대. 피아니스트 손민수, 임윤찬이 듀오로 한 무대(12일 아트센터인천, 14일 서울 롯데콘서트홀, 15일 서울 예술의전당)에 선다.리사이틀을 앞두고 진행한 서면 인터뷰에서 손민수는 “이번 듀오 프로그램을 준비하며 어떤 것이 ‘좋은 음악’이며 ‘좋은 연주’인지에 대한 서로의 관점을 나누고 되짚으며 많은 대화를 나눴다”고 했다.오랜 시간 함께 한 사제는 닮은 점이 많다. 제자 임윤찬은 스승을 만난 이후 단 한 번도 그의 곁을 떠난 적이 없다. 영재원에서 시작해 한국예술종합학교로, 손민수가 이직한 미국 보스턴의 뉴잉글랜드 음악원으로 함께 향햤다. 피를 나눈 사이는 아닐 지라도 둘은 음악 DNA를 공유하는 지음다. 임윤찬은 “어느 것 하나를 꼽을 수 없을 정도로 선생님은 제 인생과 음악 모두 다 절대적이고도 전반적으로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며 “선생님과 연주하는 것은 언제나 축복”이라고 했다.이번 발표회에선 브람스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와 라흐마니노프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교향적 무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장미의 기사 모음곡’을 골랐다.손민수는 “서로의 음악이 자연스럽게 만나 하나의 흐름을 만들 수 있는 음
미국과 무역전쟁을 벌이는 중국이 에티오피아산 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