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중국산 의류 수입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메이드 인 차이나’ 의류가 ‘택갈이’를 통해 국내산으로 둔갑하며 시장을 교란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C커머스 대표주자 쉬인의 국내 이용자 수는 올해 4배 가까이 급증했다. 쉬인은 국내 토종 플랫폼인 에이블리, 지그재그 등을 빠르게 추격하며 패션시장을 위협하고 있다.20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산 의류 수입 중량은 28만7029t, 금액은 48억2988만 달러에 달했다. 2020년 같은 기간 대비 중량은 약 50%, 금액은 17억 달러(약 2조3600억원) 이상 증가한 수치다. 내수침체로 패션업계가 고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산 의류 수입은 확연히 늘었다.중국 제품을 국내산으로 위장·유통하는 이른바 ‘택갈이’도 급증하는 추세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에서 2000원 안팎에 수입한 제품을 ‘고급 원단 사용’ 등 허위 문구를 앞세워 판매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다. 국내 쇼핑몰이나 소셜미디어를 통해 10배 이상의 마진을 챙기는 경우도 심심찮게 나타나고 있다. 관세청이 올해 상반기 불법 수입품으로 적발한 310만점 가운데 170만점이 원산지 허위·미표시 때문이었고, 중국산 의류를 한국산으로 둔갑시키거나 두 나라 명칭을 병기한 경우가 다수였다.쉬인의 확장세도 공격적이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쉬인의 국내 월간활성이용자수(MAU)는 175만명으로, 지난 1월 대비 3.9배 급증했다. 전년 동기 11위였던 쉬인의 패션·의류 업종 앱 순위는 6위로 뛰어올랐다. 와이즈앱·리테일 조사에서도 쉬인의 MAU는 220만명으로, 집계 이래 처음 200만명을 돌파했다.쉬인에서 한국 소비자가 결제한 금액은 1인당 평균 약 10만원에 이른다. 초저가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도, 국내 패션플랫폼 에이블리(6만1000원)나 지그재그(7만원)의 1인당 평균 결제액을 훨씬 웃돈다. 수요에 따라 즉시 생산·공급하는 ‘온디맨드’ 시스템이 소비자의 지갑을 열게 하는 비결로 꼽힌다. 수영복이나 웨딩드레스처럼 계절·시즌성 상품을 저렴한 가격에 빠르게 공급하며, 품질 우려에도 불구하고 빠르게 시장 입지를 넓혀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국내 패션업계는 전방위 위기를 맞고 있다. 삼성물산·LF·한섬·신세계인터내셔날·코오롱FnC 등 대기업 5곳의 올해 1분기 매출은 모두 역성장했다. 플랫폼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에이블리는 지난해 매출 증가에도 집중호우로 인해 지난 19일 울산 태화강 둔치가 침수되어 있다. 20일 빠른 복구작업으로 산책로 등이 정상화된 태화강 둔치 위로 찌는 듯한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김동수기자 dskim@ksilbo.co.kr 울산이 '기후 뉴노멀(new normal·새로운 기준)'의 한복판에 서 있다. 최근 전국을 강타한 기록적 폭우와 이어지는 폭염은 울산에도 직격탄을 날렸다.전문가들은 여름철 한 달 평균 기온이 40℃에 육박하고 한 시간에 100㎜가 넘는 물폭탄급 집중호우가 반복되는 극단적 기후가 앞으로는 일상이 될 것이라고 경고한다.강한 폭우가 짧고 굵게 쏟아지고, 9월 말까지 폭염이 이어지는 '기후 감옥' 시대가 이미 시작됐다는 분석이다. 문제는 이런 기후위기가 인명·재산피해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기후 뉴노멀' 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20일 울산시 등에 따르면 지난 17일부터 19일까지 울산지역 누적 강수량은 171.9㎜다. 최대강수량은 332.0㎜에 달했다. 이 기간 공공시설 17건, 사유시설 2건 피해가 발생했다. 침수에 대비해 주민들이 긴급 대피하기도 했고, 곳곳이 교통통제되기도 했다. 상수도를 공급하는 송수관로가 파손돼 울산 일부 지역에 수돗물 공급이 중단되는 사태도 빚어졌다.이뿐 아니라 울산의 세계유산인 '반구천(반구대) 암각화'도 등재 일주일 만에 또 다시 물에 잠겼다.허민 국가유산청장도 반구대 암각화를 찾아 안전 상태를 직접 점검했으며, 현재 국가유산청은 피해 유산 주변 통행 제한, 응급조치, 2차 피해 방지 대책을 마련 중이다.이번 집중호우로 전국에서 총 8건의 국가유산 피해도 확인됐다. 사적 3건, 보물 2건, 국보·명승·국가등록문화유산 각 1건이 피해를 입었다.전문가들은 시간당 100㎜가량의 비가 퍼붓는 이상 현상이 '뉴노멀'이 된 만큼 지자체 등도 도시방재 계획 전반을 재검토하고 신속히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대기 온도가 1℃ 오르면 공기 중 수증기량은 약 7% 늘고, 해수면 온도 상승까지 겹치며 대기는 포화 상태에 가까워진다. 이 수증기가 한꺼번에 비구름으로 응결되며 시간당 100㎜ 안팎 폭우로 쏟아진다. 서울 강남(2022년), 충북 오송(2024년), 미국 텍사스 등지에서 벌어진 대홍수도 같은 맥락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