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시작

성원에스피 고객센터
고객만족 100%에 노력하는 성원에스피가 되겠습니다.
Home 고객센터 고객상담
고객상담

[파이낸셜뉴스] 본초여담(本草餘談)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   조회수: 52 날짜: 2025-07-26

본문

가전내구제 [파이낸셜뉴스] 본초여담(本草餘談)은 한동하 한의사가 한의서에 기록된 다양한 치험례나 흥미롭고 유익한 기록들을 근거로 이야기 형식으로 재미있게 풀어쓴 글입니다. <편집자주> 대추는 신경안정 효과가 있어 한약으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탕약에 사용할 때는 반드시 쪼개거나 칼집을 내어야 유효 성분이 잘 우러난다. '중금속을 흡착하니 먹지 말아야 한다'거나 '씨앗은 반드시 버려야 한다'는 주장에는 명확한 근거가 없다. 챗GPT에 의한 AI생성 이미지. 옛날 어떤 부인이 항상 슬퍼하면서 울기만 했다. 부인은 원인없이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고, 갑자기 화를 내는 등 감정기복이 심했다. 또한 시도 때도 없이 하품을 빈번하게 했고, 하염없이 누워 있기만 했다. 간혹 대청마루에 나와 있을 때면, 허공을 멍하니 바라보며 앉아 있어 마치 귀신에 씌인 사람처럼 보였다 가족들은 부인이 미쳤다고 생각하고서는 무당을 불러 굿을 해 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래서 인근 약방 의원들에게 처방도 받아 봤지만 여전히 차도가 없었다. 가족들이 이처럼 온갖 방법을 강구해 봤지만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한 명의가 제자와 함께 길을 가고 있었다. 그러던 명의는 우연히 부인의 집 앞을 지나면서 우두커니 대청마루에 앉아 먼 산을 쳐다보고 있는 부인을 발견했다. 명의는 발길이 떨어지지 않아 가족에게 청해서 진찰을 청했다. 몇 가지를 묻고서는 진맥을 해 보더니, 거리낌없이 “부인은 바로 장조증(臟燥症)이오.”라고 진단을 했다. 장조(臟燥)는 직역하면 ’장(臟)이 마름(燥)‘이라는 뜻으로 감정이 깃든 장이 메말랐다는 뜻이다. 특히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정신적 우울감의 일종으로 울화(鬱火)와 혈허(血虛)로 인해 나타나는 신경정신과적인 문제 중 하나다. 대개 심음(心陰)이 허하거나 간혈(肝血)이 부족한 데에서 비롯된다. 현대적으로는 산후우울증, 갱년기 우울장애, 불면증, 히스테리성 신경증 등과 유사하게 해석된다. 이는 뇌신경계의 기능 저하나 호르몬 변화로 인한 심신불안 상태로 볼 수 있다. 명의는 제자가 들고 있던 보자기 꾸러미 안에서 <금궤요략>이라는 옛 한의서에서 한 처방을 찾았다. 바로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이었다. “이 처방은 대조탕(大棗湯)이오. 달여서 먹이면 차도가 있을 것이요.”라고 하면서, 붓으로 대추 10개, 소맥 1되, 감초 2냥의 약방문을 써 내려갔다. 옆에서 지켜보던 제자가 묻기는 “스승님, 처방내용을 보면 감맥대조탕(甘麥大棗湯) 아닙니까? 그런데 스승님은 대조탕(大棗湯)이 [파이낸셜뉴스] 본초여담(本草餘談)은 한동하 한의사가 한의서에 기록된 다양한 치험례나 흥미롭고 유익한 기록들을 근거로 이야기 형식으로 재미있게 풀어쓴 글입니다. <편집자주> 대추는 신경안정 효과가 있어 한약으로도 많이 사용하는데, 탕약에 사용할 때는 반드시 쪼개거나 칼집을 내어야 유효 성분이 잘 우러난다. '중금속을 흡착하니 먹지 말아야 한다'거나 '씨앗은 반드시 버려야 한다'는 주장에는 명확한 근거가 없다. 챗GPT에 의한 AI생성 이미지. 옛날 어떤 부인이 항상 슬퍼하면서 울기만 했다. 부인은 원인없이 눈물을 흘리며 슬퍼했고, 갑자기 화를 내는 등 감정기복이 심했다. 또한 시도 때도 없이 하품을 빈번하게 했고, 하염없이 누워 있기만 했다. 간혹 대청마루에 나와 있을 때면, 허공을 멍하니 바라보며 앉아 있어 마치 귀신에 씌인 사람처럼 보였다 가족들은 부인이 미쳤다고 생각하고서는 무당을 불러 굿을 해 봤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래서 인근 약방 의원들에게 처방도 받아 봤지만 여전히 차도가 없었다. 가족들이 이처럼 온갖 방법을 강구해 봤지만 도움이 되지 않았다. 한 명의가 제자와 함께 길을 가고 있었다. 그러던 명의는 우연히 부인의 집 앞을 지나면서 우두커니 대청마루에 앉아 먼 산을 쳐다보고 있는 부인을 발견했다. 명의는 발길이 떨어지지 않아 가족에게 청해서 진찰을 청했다. 몇 가지를 묻고서는 진맥을 해 보더니, 거리낌없이 “부인은 바로 장조증(臟燥症)이오.”라고 진단을 했다. 장조(臟燥)는 직역하면 ’장(臟)이 마름(燥)‘이라는 뜻으로 감정이 깃든 장이 메말랐다는 뜻이다. 특히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정신적 우울감의 일종으로 울화(鬱火)와 혈허(血虛)로 인해 나타나는 신경정신과적인 문제 중 하나다. 대개 심음(心陰)이 허하거나 간혈(肝血)이 부족한 데에서 비롯된다. 현대적으로는 산후우울증, 갱년기 우울장애, 불면증, 히스테리성 신경증 등과 유사하게 해석된다. 이는 뇌신경계의 기능 저하나 호르몬 변화로 인한 심신불안 상태로 볼 수 있다. 명의는 제자가 들고 있던 보자기 꾸러미 안에서 <금궤요략>이라는 옛 한의서에서 한 처방을 찾았다. 바로 가전내구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