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도, 친구도, 신선한 채
페이지 정보
작성자: sans339   댓글: 0   조회수: 2 날짜: 2025-08-09본문
홈페이지상위노출
가족도, 친구도, 신선한 채소도 없는 고립의 땅, 세종기지의 겨울▲기지 주변 지형탐사 중 대원들과 함께(2025.7.26)남위 62도, 남극반도에서 약 120km 떨어진 곳에 사우스셰틀랜드 제도(South Shetland Islands)가 있다. 이 제도에 속한 수많은 섬 가운데, 가장 많은 사람이 오가는 곳은 킹조지섬(King George Island)이다. 대한민국의 남극세종과학기지(이하 세종기지)는 바로 이 킹조지섬에 자리하고 있다.외부 세계에서 이곳에 닿으려면 항공기나 선박을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일반 선박으로 접근하기 어려우며, 쇄빙선이 아니면 기지 근처에 도달할 수조차 없다.항공편은 그나마 수월한 편이지만, 겨울에는 이마저도 운항이 중단된다.▲킹 조지 섬의 남극기지비행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활주로는 '필데스반도(Fildes Peninsula)'에 있다. 이 지역에는 러시아(1968년)를 시작으로 칠레(1969년), 중국(1985년) 등 여러 나라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기지를 세웠다. 반면, 우리나라는 1988년에야 기지를 건설하며 필데스반도에서 약 10km 떨어진 바톤반도(Barton Peninsula)에 세종기지를 건설하고 본격적인 남극 활동을 시작했다.이런 지리적 조건 때문에 세종기지는 바람이 거세게 불거나 바다가 얼 경우, 인근 기지들과의 왕래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유일한 육로는 '크레바스(Crevasse)'라 불리는 빙하 골짜기에 가로막혀 있기 때문이다.▲설상차 - 남극기지의 주요 이동수단이다(2025.7.15)불과 2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겨울이면 바다가 완전히 얼어붙어, 스노우모빌이나 설상차를 타고 바다 위를 건너는 일이 가능했다. 그러나 남극에서도 비교적 '따뜻한 지역'으로 꼽히는 킹조지섬은 이제 겨울철에도 바다가 완전히 얼어붙는 날을 보기 힘들다. 그 결과, 겨울철에는 고무보트가 유일한 이동 수단이지만, 강풍과 바다 위를 떠다니는 커다란 유빙들로 인해 운항이 어려운 날이 계속된다.결국 세종기지는 예전보다 기온이 크게 올라 바다가 얼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5월부터 9월까지 외부와의 모든 연결이 끊긴 채 고립된 겨울을 맞이하게 된다.이런 이야기를 꺼내면, 많은 이들이 흑산도나 울릉도처럼 외딴 섬에서의 삶을 떠올리며 위로의 말을 건넨다. 그러나 이곳의 현실은 그런 섬마을과는 비교가 되지 않는다.매년 9월쯤 부산항에서 선적된 식료품은 약 석 달 뒤인 12월경, 가족도, 친구도, 신선한 채소도 없는 고립의 땅, 세종기지의 겨울▲기지 주변 지형탐사 중 대원들과 함께(2025.7.26)남위 62도, 남극반도에서 약 120km 떨어진 곳에 사우스셰틀랜드 제도(South Shetland Islands)가 있다. 이 제도에 속한 수많은 섬 가운데, 가장 많은 사람이 오가는 곳은 킹조지섬(King George Island)이다. 대한민국의 남극세종과학기지(이하 세종기지)는 바로 이 킹조지섬에 자리하고 있다.외부 세계에서 이곳에 닿으려면 항공기나 선박을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일반 선박으로 접근하기 어려우며, 쇄빙선이 아니면 기지 근처에 도달할 수조차 없다.항공편은 그나마 수월한 편이지만, 겨울에는 이마저도 운항이 중단된다.▲킹 조지 섬의 남극기지비행기가 이착륙할 수 있는 활주로는 '필데스반도(Fildes Peninsula)'에 있다. 이 지역에는 러시아(1968년)를 시작으로 칠레(1969년), 중국(1985년) 등 여러 나라가 비교적 이른 시기에 기지를 세웠다. 반면, 우리나라는 1988년에야 기지를 건설하며 필데스반도에서 약 10km 떨어진 바톤반도(Barton Peninsula)에 세종기지를 건설하고 본격적인 남극 활동을 시작했다.이런 지리적 조건 때문에 세종기지는 바람이 거세게 불거나 바다가 얼 경우, 인근 기지들과의 왕래가 사실상 불가능해진다. 유일한 육로는 '크레바스(Crevasse)'라 불리는 빙하 골짜기에 가로막혀 있기 때문이다.▲설상차 - 남극기지의 주요 이동수단이다(2025.7.15)불과 20여 년 전까지만 해도 겨울이면 바다가 완전히 얼어붙어, 스노우모빌이나 설상차를 타고 바다 위를 건너는 일이 가능했다. 그러나 남극에서도 비교적 '따뜻한 지역'으로 꼽히는 킹조지섬은 이제 겨울철에도 바다가 완전히 얼어붙는 날을 보기 힘들다. 그 결과, 겨울철에는 고무보트가 유일한 이동 수단이지만, 강풍과 바다 위를 떠다니는 커다란 유빙들로 인해 운항이 어려운 날이 계속된다.결국 세종기지는 예전보다 기온이 크게 올라 바다가 얼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매년 5월부터 9월까지 외부와의 모든 연결이 끊긴
홈페이지상위노출